아이폰만 사용한 분들은 갤럭시 사용이 처음이라 당황할 때가 생길 수 밖에 없습니다. 얼마전 세컨드폰으로 갤럭시 S22 플러스 중고폰을 구입하면서 예상치 못한 일이 생겨서 당황했던 기억이 납니다. 이 기회에 중고폰 매입 판매 주의사항 및 중고폰 사이트인 에코폰, 소녀폰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중고폰 매입 판매 주의사항
여러분들은 중고폰을 매입하거나 판매할 때, 어떤 방식으로 하세요 ? 예전에는 개인간 거래를 했지만, 번거롭고 간혹 터무니 없는 AS 요청을 받는 경우가 있어서 개인거래보다 가격은 좀 아쉽지만, 속 편하게 거래할 수있는 중고폰 전문 사이트에서 주로 거래하고 있습니다.,
제가 주로 이용하는 곳은, 에코폰, 소녀폰 2곳인데요, 업력도 오래되었고 믿을만한 곳이기에 두곳중 마음에 드는 곳을 선택해서 거래하시면 될 것같습니다. 저는 오프라인은 에코폰을, 온라인은 소녀폰을 주로 이용하고 있습니다.
전원 켰을 때, 로고
아이폰 경우, 전원을 키면 사과모양의 로고가 나옵니다. 아이폰 경우, 애플에서 생산하고 소프트웨어 ios 또한 애플이 직접 관리하기 때문에 타 회사로고가 들어갈 틈이 없습니다. 아이폰 이용자에게는 너무나 당연하게 생각하는 것이었죠.
따라서 갤럭시 전원을 켜면, 삼성 로고가 나올것이라 생각했는데, 이상한 문제가 생겼습니다. 이번에 갤럭시 S22 중고폰을 구입해서 전원을 켰는데, KT 로고가 나오는 겁니다. 완전 엉뚱한 로고죠.
왜냐고요 ? 일단 제 생각에는 삼성로고가 나올것이라 기대했거든요. 삼성 로고가 아니라면, 최소한 SKT 로고가 나오는게 맞다고 생각했죠. 왜냐하면, 저는 SKT 통신망을 사용하니까. 그렇지만, 전혀 엉뚱하게 KT 가 나오는 겁니다.
Q: 도대체 왜 이런 문제가 생긴걸까요 ?
갤럭시 경우, 각 통신사 전용 단말기가 있다는 사실을 처음 알았습니다. 예를 들어, KT 에서 갤럭시와 협약해서 기기할인을 했거나, 별도의 마케팅을 할 경우 기기에 통신사 로고가 들어갑니다. 통신사 전용 앱도 깔리고요.
생각해보세요. 저는 SKT 이용자인데, 엉뚱하게 KT 로고에, 앱도 KT 것이 들어와있는겁니다.
Q: 이런 문제가 생기지 않게 하려면 ?
중고폰 구입할 때, 자신이 사용하는 통신사를 판매사에게 말해서, 원하는 통신사를 맞추면 됩니다. 저는 이 사실을 몰랐습니다. 소녀폰에서 중고폰 판매시, 해당 통신사를 표기해주는 경우도 있지만 재고가 넉넉하지 않을때는 통신사를 랜덤으로 발송하는 것 같습니다. 이때, 소녀폰 측에 원하는 통신사를 요청하면 맞춰준다고 합니다.
통신사 로고 변경불가
이미 중고폰은 구입했기에 통신사 로고를 변경해볼까 싶었는데, 통신사 정보가 펌웨어 반영되어있기 때문에 수정하기 어렵다고 합니다. 판매사에 물어보니, 사용상 문제는 없다고 하더군요. 맞요. 지금까지 사용해보니, 재부팅 할때 타사 로고가 보이는 것 말고는 딱히 불편한 것이 없습니다.
정 불편하면 펌웨어 변경을 통한 탈옥을 시도하면 됩니다. 그렇지만, 이 방법은 요즘 불안정하기도 하고, 여러가지 문제가 있어서 비추하는 방법이더군요.
- 데이터 손실 위험
- AS 불가 (삼성 공식서비스센터 거부 가능성)
- 펌웨어 꼬임 현상 발생시 복구 어려움
중고폰 구입시 꼭 확인할 사항
이번 경험으로 확실하게 알게된 것은, 반드시 통신사 확인하는 것입니다.
- SKT 사용자라면 SKT 모델
- KT 사용자라면 KT 모델
- LG U+ 사용자라면 LG U+ 모델
판매 사이트에 통신사 선택버튼이 없는 경우, 반드시 판매자에 문의한 후 구입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마무리 정리
아이폰만 사용하다고 처음으로 갤럭시를 구입하면서 작은 실수를 저질렀지만, 다행히 큰 불편없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다만, 알아두면 다음에 중고폰 구입할 때 참고가 될 것같아서 정리해보았습니다. 중고폰 구입, 판매하시는 분들이라면 에코폰, 소녀폰을 이용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앞으로 중고폰을 이용하면서 느낀 제 체험을 자주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